본문 바로가기
생활습관 & 건강관리

꿈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 - 과학적 연구로 알아보기

by tipster 2025. 5. 20.
728x90

꿈을 기억하는 것에 관한 과학적 연구 7가지

꿈을 기억하는 능력은 뇌의 구조와 활동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. 혹시 언제부터인가 꿈을 잘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면, 그 배경에는 다양한 과학적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과학적으로 밝혀진 꿈 기억에 관한 연구 사례를 통해 우리가 왜 어떤 날은 꿈을 선명하게 기억하고, 어떤 날은 아예 기억조차 못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.

 


연구사례 1. 꿈 기억과 잠에서 깨는 시점

우리는 수면 중 약 4~6회의 렘수면을 경험합니다. 이때 뇌는 깨어있을 때만큼 활발하며, 꿈의 대부분도 이때 발생합니다. 다양한 꿈 연구소의 연구 결과  렘수면 중에 깰 경우, 꿈을 기억할 확률이 훨씬 높아집니다.

렘수면 상태에서 깬 사람은 80~90%가 꿈을 회상한 반면, 비렘수면 중 깬 사람은 10~20% 정도만 꿈을 기억했습니다.

즉, 깨어나는 타이밍이 렘수면 시점과 일치하지 않으면 꿈을 기억하지 못하게 됩니다.

 

렘수면과 비렘수면에서의 꿈 회상률 비교 그래프
※ REM 수면에서는 약 85%의 사람이 꿈을 기억하는 반면, Non-REM 수면에서는 약 15%만이 꿈을 기억합니다.


연구사례 2. 꿈을 ‘기억’으로 바꾸는 해마의 역할

2017년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는 해마가 꿈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발표했습니다. 

해마는 기억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뇌 구조로, 수면 중 정보를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전이시키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.

실험 결과, 해마의 회백질 밀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꿈을 더 자주, 더 생생하게 기억했으며, 이 부위의 활동성은 꿈 내용을 재구성하는 능력과도 관련이 있었습니다.


연구사례 3. 꿈을 기억하는 능력과 노화의 상관관계

꿈을 잘 기억하던 사람도 나이가 들수록 꿈을 잘 떠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 

2020년 일본 도호쿠 대학의 종단 연구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꿈을 기억하는 빈도가 줄어든다고 보고하였습니다.

이 연구는 20 대부터 70 대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, 특히 60세 이후부터 꿈 기억 빈도가 급감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.

이유는 노화로 인해 렘수면 비율 감소, 해마 기능 저하, 꿈을 꿔도 그 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옮기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.

 

해마 위치와 기능 설명 이미지
※ 해마는 뇌의 측두엽 안쪽에 위치해 있으며, 수면 중 일어난 일을 기억으로 저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특히 꿈을 기억하는 능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

연구사례 4. 수면의 질과 꿈 기억의 관계

핀란트 투르쿠 대학교에서는 흥미롭게도,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 꿈은 덜 기억된다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.

즉, 꿈을 많이 기억하는 것이 꼭 '좋은 수면의 지표'는 아닐 수 있습니다.

수면이 깊고 끊기지 않을수록 렘수면 중 깨어날 가능성도 적어, 결과적으로 꿈을 기억할 기회를 줄이기 때문입니다.


연구사례 5. 우울증과 꿈 기억의 관계

2015년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의 정신의학 연구소에서는 우울증 환자들은 꿈을 더 자주, 더 생생하게 기억하는 경향이 있으며, 부정적인 감정을 담은 꿈일수록 기억률이 높았다고 밝혔습니다. 

이는 감정 조절이 약해진 상태에서는 꿈의 부정적인 내용이 더 깊게 각인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.


연구사례 6. 외부 자극과 꿈 기억

일본 교토대 연구팀은 수면 중 소리나 빛 같은 외부 자극에 민감한 사람들이 꿈을 더 잘 기억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.

실험 참가자들에게 특정 소리를 들려 주었을 때, 외부 자극에 반응한 참가자들이 꿈의 내용까지 더 생생히 기억했습니다. 

꿈 기억은 뇌가 수면 중에도 외부 자극을 처리하는 정도와 연관 있음을 의미합니다.

 

수면 중 외부 자극에 대한 뇌파(EEG) 반응 그래프
※ 이 그래프는 수면 중 외부 자극(소리, 빛 등)에 대한 뇌파(EEG) 반응과 꿈 기억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줍니다. 수면 중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 사람일수록 꿈을 더 자주, 더 생생하게 기억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.


연구사례 7. 꿈을 기록하는 효과

2022년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의 수면연구소는 꿈일기를 꾸준히 작성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비교 분석 했습니다. 연구 결과, 꿈을 기록하는 습관은 실제로 꿈 기억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

기록을 통해 뇌는 꿈의 내용을 회상하고자 저장하는 패턴을 학습하며, 이로 인해 꿈을 기억하는 빈도와 정확성이 높아진다는 것이 핵심입니다.


 

이 7가지 사례를 통해, 꿈 기억은 단순한 기억력 문제가 아니라 

수면의 질, 뇌 활동, 나이, 감정, 자극 민감성 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결과임을 알 수 있습니다.

이 글이 여러분이 자신의 꿈 기억력에 대해 과학적으로 이해하고, 흥미를 느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.

 

다음 편에서는 꿈을 더 잘 기억하기 위한 실천법을 소개할 예정입니다. 😊

 

728x90